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 퍼지

덤프버전 :




더 퍼지 (2013)
The Purge
파일:더 퍼지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external/www.counter-currents.com/ThePurge.jpg
장르공포
감독제임스 디모너코
각본
제작제이슨 블룸
마이클 베이
앤드류 폼
브래들리 풀러
출연에단 호크
레나 헤디
애들레이드 케인
맥스 버크홀더
음악나단 화이트헤드
촬영자크 조프렛
편집피터 그보즈다스
제작사플래티넘 둔스
블룸하우스 프로덕션
수입사UPI 코리아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쳐스 인터내셔널 코리아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6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1월 6일
상영시간85분
월드 박스오피스$89,328,627 (출처)
북미 박스오피스$64,473,115
대한민국 총 관객 수137,340명
스트리밍
Coupang Play


Wavve


네이버 시리즈온


Apple TV+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해외 상영 등급파일:영국 국기.svg 파일:BBFC_15.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Restricted

1. 개요
2. 예고편
2.1. 작중 등장하는 긴급방송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7. 평가
8. 흥행
9. 기타
10. 관련 문서
10.1. 새로운 건국의 아버지들
11. 속편



1. 개요[편집]


마이클 베이 제작, 제임스 디모너코 연출[1], 에단 호크 주연의 호러 영화. 1년 중에 하루에 폭행이나 살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범죄가 허용되는 근미래의 미국을 배경으로 한다. 그러한 날을 퍼지(The Purge)[2]라고 부르며, 영화의 배경이 되는 날 역시도 2022년의 퍼지. 중국어권에서는 대륙은 人类清除计划(인류청제계획, "인류숙청계획"), 홍콩타이완은 國定殺戮日(국정살육일)이다.

300만 달러 저예산으로 만들어졌으나 8900만 달러로 제작비 30배 가까운 엄청난 대박을 터뜨린 덕택에 시리즈화되었다.

저예산 영화인지라 배경이 거의 집안 내로 한정되어 퍼지 자체의 사회적 측면 설정은 상상의 여지가 많다. 그렇다보니 영화 개봉 이후 한동안 후속작이라면서 팬들의 자체 제작 영상들도 많이 올라오곤 했다.


2. 예고편[편집]





2.1. 작중 등장하는 긴급방송[편집]


작중 등장하는 긴급방송[A]

2015년 새로 공개된 버전의 긴급방송[A]

This is not a test. This is your emergency broadcast system announcing the commencement of the Annual Purge sanctioned by the U.S. Government. Weapons of class 4 and lower have been authorized for use during the Purge. All other weapons are restricted. Government officials of ranking 10 have been granted immunity from the Purge and shall not be harmed. Commencing at the siren, any and all crime, including murder, will be legal for 12 continuous hours. Police, fir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will be unavailable until tomorrow morning until 7 a.m., when The Purge concludes. Blessed be our New Founding Fathers and America, a nation reborn. May God be with you all.

이는 시험방송이 아닙니다. 본 방송은 미합중국 정부에 의해 허가된 연간 숙청의 시작을 알리는 긴급 방송 시스템입니다. 4등급 이하의 무기들은 숙청 기간 동안 사용이 허가됩니다. 그 외의 무기들은 제한됩니다. 10등급 이상의 정부 관료들은 숙청의 대상에서 제외되며 해를 입혀선 안 됩니다.[3]

사이렌과 동시에 살인을 포함한 모든 범죄는 12시간 동안 합법입니다. 경찰, 소방, 긴급 의료 서비스는 숙청이 끝나는 다음 날 아침 7시까지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새로운 건국의 아버지들과 새로 태어난 미국에 축복이 있기를. 신이 당신들과 함께하시길 바랍니다.[4]



3. 시놉시스[편집]


“지금부터 12시간, 살인은 물론 어떤 범죄도 허용됩니다.”

사상 최저 실업률과 범죄율 단 1%의 미국,

완벽한 모습 뒤엔 매년 단 하루, 12시간동안 살인은 물론 어떤 범죄도 허용되는 ‘퍼지 데이’ 가 있다.

그 날은, 모든 공권력이 무력화되고 오직 폭력과 잔혹한 본능만이 난무한다.

“우린 별 일 없을 거야.”

2022년 3월 21일 퍼지 데이,

제임스(에단 호크)는 가족을 위해 최첨단 보안 시스템을 가동해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한다.

하지만 한 순간의 방심으로 쫓기던 낯선 남자를 집으로 들이면서 끔찍한 ‘퍼지 데이’의 밤이 시작된다.

지금부터 12시간, 제임스 가족은 ‘퍼지 데이’에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4. 등장인물[편집]




5.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2년의 미국은 실업률과 범죄율이 항상 1% 이하로 유지되며 경제는 계속 성장하는 지상낙원이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1년에 한번 경찰, 소방서를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이 업무를 중단하고 모든 범죄[5]가 허용되는 날인 숙청의 날(The Purge)이 있기 때문.

이 세계의 미국은 2010년대 후반부터 "새로운 건국의 아버지들"이라는, 민주주의 따위는 다 씹어먹은 전체주의&경찰국가주의 정부가 미국 전체를 지배하며 숙청의 날은 그들의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이다. 비록 1년 365일 중에서 단 하루에 그나마도 절반인 12시간만 주고 알람이 울리면 즉각 다시 공공기관이 업무를 개시하며 일상으로 돌아가지만, 단 12시간뿐이라도 그 악명은 나치 독일, 일본 제국, 북한, 다에시 등 지구 역사상 모든 막장 체제의 특성을 짬뽕한 결과물이나 다름 없다. 실제로 이게 과장이 아니라 1편에는 비교적 덜 드러나지만 시리즈 전체를 보면 좀 더 잘 드러나는데 은근히 없는 자들을 위한 복지를 싫어하며 인종차별주의를 비롯해 약자들을 제거하고 부자들과 백인들의 세상을 만들려고 하는 것 같은 그림이 드러나 잔혹하고 무자비하고 비도덕적인 성향을 많이 보인다. 애초에 퍼지 시스템이 존재하는 이유도 상대적으로 범죄에 취약한 빈곤층이나 사회적 약자를 합법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퍼지 데이에 살아남기 위한 가정용 보안 장비를 팔아 부를 모은 제임스 샌딘(에단 호크 분)과 그의 가족은 언제나 그렇듯이 숙청의 날이 오자 자신들의 보안 장치를 작동시켜 집을 보호한다. 하지만 미처 은신처를 찾지 못하고 거리를 질주하던 한 남자[6]를 제임스의 아들이 발견하고 집으로 들여보내주면서, 그를 쫓는 자들이 샌딘의 집을 습격하기 시작하는데...[7]

추격자들과의 혈투 끝에[8] 샌딘은 죽고[9] 난입한 이웃들의 도움으로 나머지 가족들은 살아남았으나 모든 것이 끝났다고 믿는 그 순간 돌변한 이웃들에게 나머지 가족도 몰살당하기 직전, 이웃들을 저지하고 샌딘 가족을 구한 사람이 다름 아닌 그들이 구해준 남자였다. 그 사람 덕분에 전세가 역전되어 이웃들에게 총이 겨눠졌으나 마리 샌딘이 더이상의 폭력은 안 된다고 그냥 퍼지 데이 타임도 얼마 안 남았으니 조용히 있자고 하며 이웃들을 잡아둔다. 결국 샌딘 가족은 숙청의 날이 끝날 때까지 이웃들을 붙잡아 두고는 숙청의 날이 끝나자마자 그들을 쫓아낸다.


6. 사운드트랙[편집]


The Purge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The Purg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jpg
발매일: 2013.06.04.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You’re Number One나단 화이트헤드2: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평가[편집]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0953|
기자·평론가
5.2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4.5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5.2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4.53 / 10
]]
평점 없음 / 10







독주를 맹물로 만들다니

박평식 (씨네21) (★★☆)


전체적인 평가는 나름 참신한 소재로 기껏 만든 게 이거냐는 반응.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13년 5월 31일$89,328,627(세계누적)2014년 1월 1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2013년 6월 7일$64,473,115미정
파일:중국 국기.svg

미정미개봉미정
파일: 국기.svg

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0]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214명214명미집계1,712,000원1,712,000원
1주차2013-11-06. 1일차(수)15,120명121,464명6위109,113,500원918,305,500원
2013-11-07. 2일차(목)17,265명6위124,211,000원
2013-11-08. 3일차(금)18,975명5위145,626,000원
2013-11-09. 4일차(토)25,682명5위203,300,500원
2013-11-10. 5일차(일)23,275명5위185,418,000원
2013-11-11. 6일차(월)12,436명5위88,777,000원
2013-11-12. 7일차(화)8,711명5위61,859,500원
2주차2013-11-13. 8일차(수)-명-명-위-원-원
2013-11-14. 9일차(목)-명-위-원
2013-11-15. 10일차(금)-명-위-원
2013-11-16. 11일차(토)-명-위-원
2013-11-17. 12일차(일)-명-위-원
2013-11-18. 13일차(월)-명-위-원
2013-11-19.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13-11-20.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13-11-21. 16일차(목)-명-위-원
2013-11-22. 17일차(금)-명-위-원
2013-11-23. 18일차(토)-명-위-원
2013-11-24. 19일차(일)-명-위-원
2013-11-25. 20일차(월)-명-위-원
2013-11-26.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13-11-27.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13-11-28. 23일차(목)-명-위-원
2013-11-29. 24일차(금)-명-위-원
2013-11-30. 25일차(토)-명-위-원
2013-12-01. 26일차(일)-명-위-원
2013-12-02. 27일차(월)-명-위-원
2013-12-03. 28일차(화)-명-위-원



8.2. 북미 (미국·캐나다)[편집]




8.3. 중국[편집]




8.4. 대만[편집]




8.5. 일본[편집]




8.6. 영국[편집]




8.7.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파일:external/www.imfdb.org/600px-Purge_UnknownPistol2.jpg


10. 관련 문서[편집]



10.1. 새로운 건국의 아버지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새로운 건국의 아버지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속편[편집]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며 주인공이 바뀐 《더 퍼지: 거리의 반란》이 2014년에 개봉하였다. 주인공은 음주운전자의 차에 치여 사망한 아들의 복수를 위해 총을 들고서 거리로 나선 아버지 레오(프랭크 그릴로), 퍼지 데이를 피해 차를 타고 집에 돌아가던 중 차가 고장나 거리에 갇혀버린 셰인/리즈 커플, 안전하다고 믿은 집에서 무장 집단에게 끌려나온 에바/칼리 모녀. 이 다섯 명의 인물들이 만나면서 살아남기 위해 협력이라고 쓰고 4명의 짐짝들을 레오가 하드 캐리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2편의 성공에 이어 2016년 7월 1일(미국 기준)에 3편 《더 퍼지: 심판의 날》이 개봉했다. 1편과 2편 사이에는 연결 고리가 거의 없지만, 2편과 3편은 둘 다 주인공으로 레오가 등장한다.

2018년 4월 6일 《더 퍼스트 퍼지》의 예고편이 공개되었고, 7월 4일에 개봉했다. 줄거리는 제목 그대로 퍼지가 처음으로 시행되었을 때를 그리는 이야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7:21:20에 나무위키 더 퍼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네고시에이터》, 《어설트 13》의 각본을 담당했었다.[2] 영어로 'purge'는 어떤 집단이나 사회로부터 특정 인물들을 제거하거나 쫓아낸다는 의미로 여기선 숙청이란 의미다. 대숙청도 영어로 The Great Purge이며 1950년대의 미국에서 메카시즘으로 공산주의자들을 색출해낸 것을 'Red purge'라고 부른다.[A] A B 처음에 울리는 차임음은 EAS에서 쓰이는 SAME 헤더와 Attention Signal이며, 초기 버전은 EBS의 테스트 방송과 흡사하다.[3] 3편에서는 이 부분이 "숙청의 시작 이래 처음으로 누구도 숙청의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으며 어떠한 시민이나 단체도 예외가 아닙니다"로 바뀌게 된다.[4] 여담이지만 영화 개봉 이후 위 경고 방송은 낚시용으로 자주 쓰인다.[5] 단 4등급 이하가 아닌 무기들(2편에서의 묘사상 폭발물)을 사용하거나 10등급 이상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제외된다고 한다.[6] 노숙자이며 개발진 말에 따르면 전 참전용사라고 한다.[7] 아내가 우리 안전한 것이냐, 당신이 설계한 보안 시스템 아니냐고 묻자 본인이 다른 사람들한테 팔아놓고 완벽하진 않다고 말을 흐리는 남편이 백미. 실제로 퍼지 참가자들은 비교적 간단히 주인공네 집을 무력화시킨다. 일단 전선을 끊어 전기를 차단하고, 창문에 체인을 감은 뒤 자동차로 뜯어낸다. 단순히 묻지마 살인을 하거나 강도짓할 놈들의 의지를 꺾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 작정하고 조직적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에겐 못 당한 듯 하다.[8] 퍼지 참가자들이 아들이 들여보내준 인간을 순순히 내주면 안 건드리겠다고 말해, 집에 돌아다니는 남자를 잡는데는 성공했지만, 아들이 노숙인을 집밖의 퍼지 참가자들에게 내주는 것에 반감을 표현하고, 여러모로 결국 자식들 앞에서 못할 짓이라고 생각해 넘기는 걸 관둔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습.[9] 안타까운게 가족을 지킨 건 거의 아버지 제임스 샌딘의 공이란 것이다. 갑자기 총을 꺼내든 딸 조이의 남친을 포함해 거의 대부분의 적을 사살했다.[10]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관련 문서